입학사정관 1명이 100명 넘게 심사 > 뉴스 | 경기미디어신문

기사상세페이지

입학사정관 1명이 100명 넘게 심사

기사입력 2015.09.02 10:46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s url

    성균관대 318, 한양대 141, 서울대 137, 고려대 110명 등

    전임사정관(교수 제외) 4명 중 3명 비정규직 또는 무기 계약직


    입학사정관이 도입 된지 8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많은 대학에서 비정규직 신분으로, 1인당 100명이 넘는 학생을 심사하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입학사정관전형의 신뢰성에 의문이 제기고 있다.


    이는 새정치민주연합 유은혜 의원(경기 고양 일산 동구)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입학사정관 지원대학 입학사정관 현황자료를 분석한 결과 밝혀졌다.


    입학사정관 지원대학의 최근 3년간 입학사정관전형 선발 현황을 나타낸 현황에 따르면, 2015학년도 신입생 4명 중 1(25.6%, 39,558)은 입학사정관이 참여하여 평가하는 학생부 종합전형으로 선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입학사정관제 지원사업이 종료되고 2014년부터 고교교육정상화 기여대학 지원사업으로 사업이 통합 편성됐지만, 입학사정관을 통한 학생선발 규모는 201322.3%(36,161)에서 201525.6%(39,558)으로 다소 확대되었다.


    하지만 전체 입학사정관(4,360) 중 대학이 전임사정관으로 신규 채용하거나 해당 학교의 교직원 중에서 전임사정관으로 발령 또는 필요한 교육훈련을 받고 상시적 업무 담당을 위해 보직을 부여한 전임사정관비율은 19.4%(84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2014년 기준).


    나머지 3,513(80.6%)은 학생선발 기간을 포함해 일정기간 동안 위촉된 위촉사정관이다.


    전임사정관 비율은 201219.7%에서 201321.0%로 상승하다 2013입학사정관제 지원을 특정한 사업이 종료되면서 201419.4%로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입학사정관제는 입학사정관을 통하여 내신성적과 수능점수만으로 평가할 수 없었던 잠재능력과 소질, 가능성 등을 다각적으로 평가하고 판단하여 각 대학의 인재상이나 모집단위 특성에 맞는 신입생을 선발하기 위해 도입한 제도다.


    교육부의 입학사정관제 지원사업2013년 종료되면서 2014년부터 입학사정관전형이라는 명칭은 학생부종합전형으로 변경됐지만, 여전히 입학사정관을 통한 학생선발은 수시전형에서 가장 많은 인원을 선발하는 전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하지만 입학사정관제는 도입 8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전임사정관 부족, 비정규직 중심의 채용 형태, 1인당 심사인원 과다 등의 문제가 지속되면서 자칫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2014년부터 지원사업 및 전형의 명칭이 변경되고 사업이 포괄적으로 확대되면서 대학의 사정관 채용이 줄거나 사정관들의 사직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는 이야기도 빈번하게 나오고 있다.


    입학사정관의 신분이 불안정할수록 외부의 입김이 작용할 가능성은 커질 수밖에 없으므로 입학사정관의 신분 안정을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한편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 입학사정관제는 다양한 인재 선발이라는 본래 취지를 살리기보다 입시의 신뢰성을 떨어뜨리고, 정보 격차에 따른 소외계층만 양산할 우려가 크다.


    교육부는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대학들의 준비정도에 맞게 입학사정관 선발 규모를 조정해야 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저작권자(c) 경기미디어신문,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backward top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