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온실가스 2만 톤 이상 감축 > 뉴스 | 경기미디어신문

기사상세페이지

수원시 온실가스 2만 톤 이상 감축

기사입력 2017.04.19 09:13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s url


    2016년 온실가스 배출량, 기준배출량 대비 6.7% 감소


    수원시의 ‘2016년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결과 분석에 따르면 2016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153277톤으로 기준배출량(164271)보다 1994, 할당량(155273)보다 1996톤 적어 배출량 감축으로 수원시는 온실가스 배출권 여유분 1996톤을 보유하게 됐다.


    기준 배출량2011~13년 수원시 온실가스 배출량의 평균이고, ‘할당량은 환경부가 산정해 할당한 온실가스 배출량으로 우리나라는 20151월부터 온실가스 배출권을 사고파는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를 시행하고 있다.


    정부가 지방자치단체, 기업 등에 3년간 배출할 수 있는 온실가스 허용량을 정해 주고 배출권을 주식처럼 사고팔 수 있게 한 제도로 2015~2017년이 1차 계획연도이다.


    2015년 기준량 대비 1229톤을 감축한 수원시는 2년 동안 온실가스 21223톤을 줄이는 성과를 거뒀고 이는 수원시가 배출권거래제로 부여받은 총 감량목표량의 30%에 해당하는 양으로 현재 온실가스 거래가(1톤당 2만 원)를 적용하면 4억 원이 넘는 예산을 절약한 셈이다.


    수원시는 배출권 거래제 시행 초기 배출권 66400톤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적극적인 온실가스 감축 정책으로 2년이 지난 현재 오히려 여유분을 보유하게 됐으며 2015년부터 폐기물 감량 유도를 위한 인센티브 제도를 시행하며 자체 감축을 통한 배출권 확보를 추진했다.


    온실가스 배출 감소는 소각 쓰레기·음식물쓰레기 감량 정책이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지난해 소각 쓰레기는 12.7%, 음식물쓰레기는 23.1% 감축했다


    2년간 소각 쓰레기를 줄여 감축한 온실가스가 19668톤에 이른다.


    수원시는 배출권 거래제 시행 초기부터 온실가스 배출 원인을 다각적으로 분석해 감축 전략을 수립하고 분리수거 확대를 통한 소각 폐기물 감량’,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확대를 주요 전략으로 채택해 범시민 감량운동을 전개했다.


    수원시는 20119환경 수도를 선언하고 국내 최고 수준의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설정한 바 있으며 2005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기준으로, 2020(중기)에는 20%, 2030(장기)에는 40% 감축을 목표로 세웠다.


    ‘2020년 중기 목표달성을 위해 자발적 녹색생활 실천 확대, 녹색 교통 체계 구현, 녹화사업 확대, 에너지 고효율화,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친환경 건축물 확대, 효율적 자원사용 체계 등 7개 전략, 36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올해는 폐기물 감량·에너지 효율화 사업 등으로 온실가스 1만여 톤을 추가로 감축해, 배출권 매입 없이 배출권거래제 1차 계획 기간을 운영할 계획이고 자원회수시설 반입 쓰레기 점검, 폐기물 배출량 점검, 음식물 쓰레기 전면 재활용, 시민 홍보·교육 강화 등 정책으로 179682톤이 배출될 것으로 예상하는 폐기물을 149000여 톤으로 줄일 예정이다.


    목표를 달성하면 온실가스 발생을 17%가량 줄일 수 있다.


    또 도시 전체 온실가스에 대한 감축 계획 설정, 실행, 점검, 검증으로 이어지는 온실가스 감축 통합정책을 체계적으로 정착시켜 수원시를 파리 기후변화 협약의 모범사례 도시로 만들어나갈 계획이다.


    201512월 채택된 파리 기후변화 협약의 핵심은 2100년까지 지구 온도 상승을 최대 2로 제한하는 것으로 이를 달성하려면 전 세계가 온실가스 배출을 지속해서 줄여 2100년에는 ‘0’으로 만들어야 한고 195개국이 참여한 협약에 따라 2021신기후 체제가 시작된다.


    염태영 수원시장은 우리시는 배출권 거래제 시행 전에도 도시 전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정책을 자발적·선도적으로 추진해왔다온실가스 감축을 비롯한 기후변화 대응은 단순히 환경문제가 아닌 범사회적인 문제로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상우 기자]

    <저작권자(c) 경기미디어신문,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backward top home